출처 : http://spoqa.github.io/2013/06/11/more-restful-interface.html
HTTP 상태 코드
의미에 잘 맞는 URI를 설계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지만 그 리소스에 대한 응답을 잘 내어주는 것 또한 중요한 일입니다. 그런데 혹시 HTTP의 상태코드 중 200이나 404코드 정도만 알고 계시지 않으신가요? 그 코드의 정확한 의미를 얘기하실 수 있으신가요? 사실 저도 흔하게 볼 수 있는 상태코드 몇 개 정도만 알고 있고 나머지 상태코드의 정확한 의미라든지 쓰임새에는 관심이 별로 없었던 것이 사실이었습니다. 하지만 전문적으로 웹 개발의 길을 걸어갈 사람이라면 그보다는 좀 더 자세히, 많이 알고 있을 필요가 있겠지요. 사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상태코드가 존재하고 각각 그 쓰임이 다 다릅니다. 그 중 몇 개를 살펴보겠습니다.
200 : OK
일반적인 요청 성공을 나타내는 데 사용합니다. 단,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200코드를 에러 응답에 사용하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. 가령 코드는 200인데 에러메시지를 포함한다든가 하면 의미에 맞지 않은 응답코드를 보낸 것이겠지요. 이런 적절치 못한 상황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4XX대 코드를 사용하여야 합니다.
201 : Created
리소스 생성 성공에 대한 응답 코드입니다. CRUD 요청에서 Create 요청에 대한(즉, 컬렉션에 도큐먼트 추가 같은) 응답으로 내보낼 수 있는 응답코드입니다. 응답 헤더의 Location 필드에 생성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URI를 포함할 수 있다면 브라우저에서 그 값을 참조하여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겠습니다.
202 : Accepted
대체로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비동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됩니다. 즉, 이 요청에 대한 응답이 결과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죠. 하지만 최소한 응답 헤더나 응답데이터에 해당 처리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리소스 페이지를 안내하거나 혹은 해당 리소스가 처리되기까지의 예상 경과 시간 따위를 안내하는 것이 더 좋은 설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
301 : Moved Permanently
리소스가 이동되었을 경우의 응답코드입니다. 새로 리소스가 이동된 URI를 응답 Location 헤더에 명시해야 합니다. 이 응답을 받은 클라이언트는 새 URI로 이동하든지 아니면 URI를 갱신하고 캐싱을 한다든지 하는 행위를 해야 되겠지요.
400 : Bad Request
일반적인 요청실패에 사용합니다. 대체로 서버가 이해할 수 없는 형식의 요청이 왔을 때 응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 무턱대고 400에러를 응답으로 주지 말고, 다른 4XX대의 코드가 더 의미를 잘 설명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고민해야 합니다.
401 : Unauthorized
말 그대로 리소스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 위한 응답코드입니다. 리소스를 획득하기 위하여 요청자는 인증에 필요한 헤더(가령 Authorization 헤더 같은)나 데이터를 첨부해야 할 것입니다. 필요한 헤더나 데이터는 서버 쪽에서 요구하는 스펙을 충실히 따라야겠지요.
403 : Forbidden
감춰진 리소스에 접근하려 할 때의 응답코드입니다. 401과 달리 인증의 여부와 관계없이 리소스를 보여주지 않습니다.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 쪽에 정보를 공개하고 싶지 않은 리소스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합니다.
404 : Not Found
해당 URI와 매치되는 리소스가 없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. 어지간한 사람들은 다 한 번씩(?) 마주치게 되는 응답코드이지요.
405 : Method Not Allowed
지원하지 않는 요청(예를 들어 POST 요청을 받는 컨트롤러 리소스에 GET 요청을 보낸다든가)을 하였을 때 사용합니다. 가능하다면 응답 메시지에 Allow 헤더를 추가하고 그곳에 지원하는 메서드를 명시하여 클라이언트 측에서 정확한 요청을 보낼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.
Allow: GET, POST
406 : Not Acceptable
해당 미디어 타입(MIME 타입)에 대해서 지원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. 요청 Accept 헤더에 명기된 타입(가령 Application/xml)에 대해서 지원이 불가능할 경우에 돌려주면 되는 코드입니다.
409 : Conflict
요청의 형식에는 문제가 없지만 리소스 상태에 의하여 해당 요청 자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의 응답코드입니다. 즉, 이미 삭제된 리소스를 또 삭제한다든가 비어있는 리스트에서 무언가를 요청한다든가 하는 모순된 상황을 생각해보면 되겠습니다. 응답으로는 그 방법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에(혹은 문제가 무엇인지) 대한 힌트가 포함되면 좋을 것입니다.
500 : Internal Server Error
일반적인 서버 에러에 대한 응답코드입니다. 4XX대의 에러코드가 클라이언트 측 에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면, 5XX대의 에러코드는 서버 측 에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.
503 : Service Unavailable
가장 두려운(?) 응답코드 중 하나일 503입니다. 현재 서버에 과부하가 걸려있거나 유지보수를 위하여 잠시 접근이 거부될 때 필요한 응답코드입니다.
그냥 맨 앞의 숫자별로 퉁쳐서 상태코드를 내보내지 않고, 이렇게 디테일한 의미까지 따져가면서 상태코드를 내보내는 것에 대해서 그 효용성에 의문을 제기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습니다. 하지만 브라우저에서 혹은 서버 단에서 특정 상태코드에 대해서 내부 구현을 달리하거나 최적화를 통해 더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되도록 의미에 걸맞은 상태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생활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, 이렇게 디테일한 상황을 가정하고 만든 URI들이 다음에 서비스를 확장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겠지요.